이더넷 연결안됨 해결 방법 쉽게 따라 하기

이더넷 연결안됨 현상이 나오면 엄청나게 답답합니다.

컴퓨터를 켰는데 갑자기 인터넷이 안 될 때 정말 답답하고 불안해집니다. 특히 이더넷(유선 인터넷)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랜선 문제인지, 설정 문제인지, 드라이버 문제인지 확인해야 합니다.

이번 글에서는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이더넷 연결 안됨 해결 방법을 하나씩 설명해드릴게요.


🔍 1. 이더넷 연결안됨 가장 먼저 확인할 기본 사항

이더넷이 안 될 때는 가장 먼저 물리적인 문제가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

랜선(이더넷 케이블)이 제대로 꽂혀 있는지 확인
👉 랜선이 헐겁게 꽂혀 있거나 빠져 있으면 인터넷이 안 됩니다.
👉 양쪽(컴퓨터와 공유기 또는 허브)에 모두 제대로 꽂혀 있는지 확인하세요.

랜선이 손상되었는지 확인
👉 랜선을 바꿔서 꽂아보고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세요.
👉 다른 컴퓨터나 노트북에 꽂아서 인터넷이 되는지 테스트해보세요.

인터넷 공유기(라우터) 문제 확인
👉 공유기의 전원을 껐다가 5~10초 후에 다시 켜기
👉 공유기의 LAN 포트를 다른 곳에 꽂아보기

인터넷 서비스 장애 확인
👉 스마트폰의 LTE/5G를 켜고 통신사 홈페이지에서 인터넷 장애가 있는지 확인하세요.


🔄 2. 네트워크 어댑터(이더넷 장치) 다시 활성화하기

컴퓨터가 랜선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, 네트워크 어댑터가 비활성화된 것일 수 있습니다.

📌 해결 방법:

  1. Windows + R을 눌러 실행 창을 엽니다.
  2. ncpa.cpl 입력 후 Enter를 누릅니다.
  3. “이더넷”이 비활성화됨으로 되어 있다면, 마우스 오른쪽 버튼 → “사용” 클릭

✅ 이렇게 하면 네트워크 어댑터가 다시 활성화되며, 이더넷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.


🖥 3. IP 주소 자동 할당 확인하기

IP 주소 설정이 잘못되면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
📌 설정 방법:

  1. Windows + Rncpa.cpl 입력 후 Enter
  2. “이더넷”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→ “속성” 선택
  3. “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 (TCP/IPv4)”를 클릭 → “속성” 버튼 클릭
  4. “자동으로 IP 주소 받기”와 “자동으로 DNS 서버 주소 받기”를 선택
  5. 확인을 눌러 적용 후 인터넷이 되는지 확인

✅ 이렇게 하면 인터넷이 수동 설정으로 고정되어 문제가 발생한 경우 해결할 수 있습니다.


🔄 4. 네트워크 어댑터 드라이버 업데이트하기

네트워크 드라이버가 오래되었거나 손상되었으면 인터넷 연결이 안 될 수 있습니다.

📌 드라이버 업데이트 방법:

  1. Windows + X“장치 관리자” 클릭
  2. “네트워크 어댑터” 항목을 펼친 후, **이더넷 장치(예: Realtek, Intel 등)**를 찾기
  3. 마우스 오른쪽 버튼 → “드라이버 업데이트” 클릭
  4. “자동으로 드라이버 검색”을 선택

✅ 업데이트 후 컴퓨터를 재부팅하고 인터넷이 연결되는지 확인하세요.


🚀 5. 네트워크 설정 초기화하기

설정을 변경했는데도 인터넷이 안 된다면, 네트워크를 초기화해보세요.

📌 네트워크 초기화 방법:

  1. Windows + Rcmd 입력 후 Ctrl + Shift + Enter (관리자 권한 실행)
  2. 명령 프롬프트에 아래 명령어를 하나씩 입력하고 Enter를 누르세요.
netsh int ip reset
netsh winsock reset
ipconfig /release
ipconfig /renew
ipconfig /flushdns
  1. 명령어 입력 후 컴퓨터를 재부팅하세요.

✅ 이렇게 하면 네트워크 설정이 초기화되면서 이더넷 연결 문제가 해결될 수 있습니다.


🛠 6. 방화벽 또는 보안 프로그램 확인하기

일부 보안 프로그램이나 방화벽이 인터넷 연결을 차단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

📌 방화벽 임시 해제 방법:

  1. Windows + Rcontrol 입력 후 Enter
  2. “Windows Defender 방화벽” 클릭
  3. 왼쪽에서 “Windows Defender 방화벽 설정 또는 해제” 선택
  4. “Windows Defender 방화벽 끄기”를 선택하고 확인

✅ 이렇게 하면 방화벽이 원인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 (나중에 다시 켜는 걸 잊지 마세요!)


🎯 7. 공유기 또는 모뎀 초기화하기

그래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공유기(라우터) 또는 모뎀을 초기화해보세요.

📌 공유기 초기화 방법:

  1. 공유기 뒤쪽의 리셋(Reset) 버튼을 10~30초 동안 누르기
  2. 공유기가 꺼졌다가 다시 켜질 때까지 기다리기
  3. 초기화 후 인터넷 연결을 다시 설정

✅ 공유기를 초기화하면 설정이 초기 상태로 돌아가므로, 인터넷 공급업체(ISP)에서 제공한 정보로 다시 설정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.


결론: 해결 순서 요약

이더넷 연결이 안 될 때, 다음 순서대로 하나씩 점검하세요!

1️⃣ 랜선(이더넷 케이블) 문제 확인 (제대로 꽂혔는지, 다른 케이블로 테스트)
2️⃣ 이더넷 어댑터 활성화 확인 (ncpa.cpl에서 확인)
3️⃣ IP 주소 자동 설정 변경 (TCP/IPv4에서 자동 할당으로 변경)
4️⃣ 네트워크 드라이버 업데이트 (장치 관리자에서 확인)
5️⃣ 네트워크 설정 초기화 (cmd에서 netsh int ip reset 등 입력)
6️⃣ 방화벽 또는 보안 프로그램 비활성화 후 테스트
7️⃣ 공유기/모뎀을 초기화하여 연결 문제 해결

위 방법을 따라 하면 대부분의 이더넷 연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! 💡


💡 추가 팁:
무선(Wi-Fi) 인터넷은 되지만 유선(이더넷)만 안 될 때? → 랜선 문제 가능성이 높음!
여러 대의 PC에서 동일한 문제 발생? → 공유기 또는 인터넷 서비스 문제 가능성 있음!
이더넷 장치가 아예 안 보일 때? → 드라이버 삭제 후 다시 설치해보세요.

이제 이더넷 연결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겠죠?